Заимствование

: 차용, 차용어

언어들 간 접촉에 의해 한 언어의 요소가 다른 언어로 이동하여 수용되는 것을 차용이라고 한다. 차용은 만드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외국어 단어를 음차하는 어휘적 차용과 외국어 단어의 구성이나 의미를 자국어 요소로 번역하는 번역차용이 있다. 가장 전형적인 차용의 방식은 어휘적 차용으로, 흔히 차용이라 함은 어휘적 차용을 가리킨다. 어휘적 차용은 자국어에 동화된 정도에 따라 동화된 차용어와 동화되지 못한 차용어로 나뉜다. 동화된 차용어는 자국어 어휘체계 안에 완전히 편입된 것들이다. 이국적 단어, 외국어 삽입구와 같은 동화되지 못한 차용어는 형태적으로나 의미적으로 외국어의 색채를 보존한다. 러시아어에 차용어를 제공해준 주요 원천어로는 인근의 슬라브어들, 투르어계열의 언어들, 그리스어, 라틴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등이 있다.


[특징] 언어들 간 접촉에 의해 한 언어의 요소가 다른 언어로 이동하여 수용되는 것을 차용이라 한다. ‘차용’을 뜻하는 러시아어 용어 заимствование는 차용의 결과인 ‘차용어’의 의미도 지닌다.

차용되는 언어 요소는 음운, 형태소, 단어, 관용구, 통사구문 등 다양하다. 가령, 러시아어 음운체계에서 ф(f) 소리는 그리스어로부터 차용된 것이다. 러시아어 복합어에서 널리 발견되는 접두사 анти-나, 접미사 -изм도 모두 차용된 언어 요소들이다. 가장 빈도 높고 전형적인 차용의 유형은 단어의 차용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차용은 단어의 차용, 곧 ‘어휘적 차용’과 동일시되곤 한다. 어휘적 차용과 달리 외국어 단어의 구성이나 의미를 자국어 요소로 번역하는 방식의 번역차용어도 있다.


[어휘적 차용어의 종류] 어휘적 차용어는 러시아어 어휘 체계에 동화된 정도에 따라 동화된(освоенное) 차용어와 동화되지 못한(неосвоенное) 차용어로 나뉜다. 동화된 차용어는 형태적으로나 의미적으로 외국어의 색채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자국어 체계 안에 완전히 녹아든 것들이다. 이 경우 차용어의 외래성은 언어학적 어원 분석을 통해서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옛 시기에 유입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단어 중에 동화된 차용어가 많다. 아래의 단어들은 차용어라는 사실이 잘 인지되지 않을 정도로 러시아어휘 체계 안으로 깊숙이 들어왔다.


(1) 러시아어 원어

кравать ‘침대’      κραββάτι(ο)ν(그리스어)

тетрадь ‘공책’      τετράδι(ον)(그리스어)

свёкла ‘비트’        σεῦκλον(그리스어)

билет ‘표’            billet(프랑스어)

суп ‘스프’             sоuре(프랑스어)

карман ‘주머니’    karman(투르크어)

лошадь ‘말’          аlаšа(투르크어)


이렇게 완전히 동화된 차용어들은 종종 민간어원론에 따라 러시아어 고유어로 간주되곤 한다. 민간어원론에 따르면 단어 кровать(‘침대’)는 러시아어 어근 кров(‘지붕’)에서 왔으며 따라서 고유어이다. 동화된 차용어 중에는 러시아 고유어를 밀어내고 기본 어휘가 된 것들도 있다. 투르크어 차용어 лошадь(‘말’)가 뿌리를 내리면서 러시아 고유어 конь이 민속문학, 높은 문체, 전문 기병대 어휘 등, 문체적 유표성, 전문성을 부여받은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러시아어휘 체계에 공고히 뿌리 내린 차용어들은 파생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2) 러시아어 원어 파생어

пальто ‘외투’    раlеtоt(프랑스어)      пальтецо, пальтишко ‘пальто의 지소형’

герой ‘영웅’     héros(프랑스어)        геройский ‘영웅의’, героизм ‘영웅성, 영웅주의’

район ‘지역’    rayon(프랑스어)         районный ‘지역의’


동화는 몇 가지 경로로 나타난다. 러시아어 음운 체계에 편입되는 소리적 동화와 문법 구조에 편입되는 문법적 동화가 대표적이다. 소리적, 문법적 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어는 차용어임이 쉽게 인지된다. 어미 у, и를 지니는 차용어(кенгуру ‘캥거루’, какаду ‘카카투, колибри ‘벌새’)는 러시아어 명사 곡용 체계에 들어가지 못하는 까닭에 그 외래성이 쉽게 인지된다. 그런가하면 문법적으로는 동화되었으나 소리적 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차용어도 있다. 가령, Кёльн(‘쾰른’), маникюр(‘매니큐어’)는 러시아어 소리 체계[1]에 부합하지 않는바 차용어임을 드러낸다. 동화되지 못한 차용어 중에는 지역색을 강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국적 단어라는 것이 있다. 이국적 단어는 이름, 화폐명, 직위, 의복, 음식, 호칭 등 특정 민족의 문화적 특색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동화 정도에 따른 차용어의 종류 중에서 가장 낮은 동화성을 보이는 것이 외국어 삽입구(иноязычные вкрапления)이다. 외국어 삽입구는 외국어의 형태적 특징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흔히 원어의 문자로 표현되곤 한다. 라틴어 pro и contra(‘찬성과 반대’), 프랑스어 c'est la vie!(‘인생이란 그런 것!’), 영어 happy end(‘해피앤드’) 등이 대표적이다.


[원어별 유형] 현대 러시아어에 존재하는 차용어들은 수많은 언어들로부터 다양한 시기에 차용된 것들이다. 시대별로 러시아어 차용어의 주요 원천어도 차이를 보이는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는 차용어는 투르크어 차용어이다. 투르크어 차용어 중에는 옛 시기의 차용어 외에, 구소련의 투르크어 사용 국가들로부터 차용된 단어도 존재한다. 그 다음 시기에는 그리스어 차용어(грецизм)의 역할이 확대된다. 러시아에 기독교가 전래되면서 그리스어 차용어의 유입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초기의 그리스어 차용어 중에는 ад(‘지옥’), ангел(‘천사’), икона(‘이콘, 성상화’), монастырь(‘수도원’) 등 종교, 교회 관련 단어가 많이 발견된다. 그리스어 차용어는 그리스어로부터 직접 차용된 것도 있지만 중간 매개체(초기에는 고대교회슬라브어, 이후에는 서유럽어들)을 통해 들어온 것들이 더욱 많다. 러시아어 고유명사에서도 그리스어 차용어가 널리 나타난다. Георгий(‘게오르기’), Евгений(‘예브게니’), Софья(‘소피야’), Фёдор(‘표도르’), Пётр(‘표트르’), Степан(‘스테판’), Николай(‘니콜라이’) 등이 모두 그리스어 기원의 이름들이다. 기독교 전래와 함께 활발히 유입된 차용어 중에는 남슬라브어 차용어들도 있다. 특히, 러시아어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교회슬라브어휘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남슬라브어 외에 서슬라브어로부터도 많은 어휘가 차용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폴란드어 차용어가 러시아어휘 체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라틴어 차용어(латинизм)는 주로 다른 언어들을 통해 러시아어로 들어왔다. 주요 매개어로는 그리스어(10-11세기), 폴란드어(16-17세기), 서유럽어들(18세기 이후) 등이 있다. 라틴어 차용어는 일상적 사물들, 사회-정치용어, 학문과 예술분야의 용어가 많다(예 3). 라틴어 기원의 러시아어 이름도 여럿이 있다(예4).


(3) комната(‘방’), цемент(‘시멘트’), формула, арена(‘무대, 경기장’), комментарий(‘주석’), автор(‘작가’), депутат(‘대의원’), акция(‘주식’), экзамен(‘시험’), цирк(‘서커스’), доктор(‘의사, 박사’)

(4) Валерий(‘발레리’), Виктор(ия)(‘빅토르, 빅토리야’), Марк(‘마르크’), Марина(‘마리나’), Валентин(а)(‘발렌틴, 발렌티나’), Юлия(‘율리야’)


18세기부터 러시아어 차용어의 대부분은 서유럽어들로부터 들어오기 시작한다. 18세기 초에는 독일어 차용어(германизм)가 구어적 경로와 문어적 경로를 통해 활발히 들어왔다. 독일어 차용어 중에는 일상적 사물을 가리키는 단어나 예술 및 군사 관련 용어가 많다.


(5) бутерброд(‘샌드위치’), кухня(‘부엌’), штопор(‘마개뽑이’), папка(‘파일, 폴더’), шпион(‘스파이’), штраф(‘벌금’), штурм(‘급습, 돌격’), ранг(‘등급, 계급’), штаб(‘사령부’), плац(‘연병장’)


18세기 말부터 러시아어 차용어의 최대 지분은 프랑스어 차용어에 넘어간다. 프랑스어 차용어 중에는 어휘적 차용어뿐만 번역차용어가 상당수에 이른다. 한편, 현대 러시아어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차용어 중에는 영어 차용어의 비율이 높다.


[원인] 차용의 원인은 크게 언어외적인 원인과 내적인 원인으로 나뉜다. 중요한 언어외적 원인은 언어들 간 접촉과 상호작용에 있다. 그 결과 사물, 현상, 개념의 도입 및 이를 가리키는 단어의 유입이 차용어 출현의 근본적인 기제로 작동한다. автомобиль ‘자동차’, такси ‘택시’, метро ‘지하철’, радио ‘라디오’, кино ‘영화’, бульвар ‘가로수길’ 등이 이런 방식으로 출현한 차용어들이다.대표적인 언어내적인 원인으로는 의미적 변별화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의미적으로 유사한 자국어 단어가 존재하더라도 정확하고 구체적인 의미 표현을 위해 외국어 단어가 차용되곤 한다. 이 경우 고유어-차용어가 의미 혹은 뉘앙스의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동의어 쌍을 형성하게 된다. 러시아어에 ‘잼’을 가리키는 варенье라는 단어가 존재하지만 영어 차용어 джем이 유입돼 좀 더 밀도 높은 잼을 가리키는 단어로 뿌리내린 것이나, 프랑스어 차용어 портье가 기존의 단어 слуга와는 변별적으로 호텔 서비스직(‘포터, 수위’)의 의미로 차용된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언어적 경제성의 추구도 차용을 유발하는 언어내적 요인이다. 이는 자국어에서 구나 절을 활용한 서술식 표현을 하나의 단어로 교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령, ‘짧은 거리의 달리기(бег на короткие дистанции)’를 차용어 спринт(‘스프린트’)로, ‘(여러 도시, 국가를) 두루 둘러보는 여행(путешествие по круговому маршруту)’을 турне(‘투어’)로 대체하는 방식이다. 이 외에 사회 심리적 요인도 차용어의 유입 배경으로 작동한다. 이는 18-19세기 러시아에서 프랑스어가 그러했듯 차용의 원천어가 더 상위의 언어, 특권층의 언어로 인식되는 것과 관련된다. 차용어가 언어사용자의 특권의식을 강화시켜주고 때로는 지위적 상승효과를 배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의미 변화] 차용어의 의미 변화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난다. 먼저, 원어와 비교하여 차용어의 의미가 다소간 달라진 경우로, 이 때는 의미적 축소가 지배적이다. 특히, 원어가 다의어인 경우 그 중 하나만이 차용됨으로써 차용어의 의미적 축소가 일어나곤 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speaker는 ‘화자, 강연자, 발언자, (국회)의장, 스피커’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 다의어지만 차용어 спикер는 정치 용어로서 ‘의장’의 의미로 주로 사용된다. 반대로, 러시아어 спутник은 ‘동반자, 동행자, 인공위성’이라는 보다 폭넓은 의미를 지니는 데 반해,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영어 Sputnik은 ‘소련의 인공위성’이라는 한정적 의미를 지닌다. 두 번째는 차용어가 들어온 이후에 처음 차용될 때의 의미와 달라진 경우이다. 이 경우의 의미 변화는 주로 의미적 확대 혹은 의미적 일반화로 귀결된다. 예를 들어, 영어 차용어 брифинг(‘브리핑’)이 소비에트 시대에는 외국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에 제한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이국적 단어로 남아있었으나 90년대 이후에는 러시아의 최고위층이 참석한 회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 변화가 이루어졌다. 역시 영어 차용어인 приватизация(‘민영화’)도 예전에는 주로 외국의 사례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던 것이 점차 러시아 국내의 정치, 경제 상황에 자주 사용되면서 완전히 동화된 단어가 되었다. 이는 이 단어로부터 приватизировать(‘민영화하다’), приватизатор(‘민영화 지지자, 민영화 주도 관료’) 와 같은 파생어가 만들어진 것에서도 드러난다.


연관 표제어


고대교회슬라브어(старославянский язык, old church slavic), 교회슬라브어휘(славянизм, church slavic word), 민간어원론(народная этимология, folk etymology), 번역차용어(калька, calque), 영어 차용어(англицизм, anglicism), 이국적 단어(экзотизм, exotic word), 투르크어 차용어(тюркизм, turki loanword), 폴란드어 차용어(полонизм, polish loanword)


참고자료


유승만. “현대러시아어에 나타난 언어변화: 차용어 사용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2-3. 2010.

홍선희. “개념의 차이 : 러시아 차용어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31-2. 2019.

Реформатский А. А. Введение в языковедение. М., 1996.

Степанов Г. В.(гл. ред.)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юного филолога. М., 1984.

Шанский Н. М, Иванов В. В. Современный русский язык. М.,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