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етонимия

: 환유

[연속성의 유형]


연속성은 여러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1유형. 사회·물리적, 사회·문화적 경험상의 연속성

2유형. 제유, 즉 부분·전체 관계의 연속성

3유형. 병치관계, 즉 발화상의 연속성(Traugott & König, 1991: 210).


문법화(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я)의 관점에서 가장 의미가 있는 환유는 3유형인데 대표적인 예가 소유 구문이다.

러시아어에서 소유 구문은 다음의 네 가지 도식에 기초하여 만들어진다.


1. X имеет Y 행위도식

2. X находится в Y-е 장소도식

3. X есть с Y-ым 동반도식

4. X существует в связи с Y-ым 존재도식


위의 1~4 예문들은 실제 세계에서의 장소적 인접성으로부터 환유에 의해 문법표지(грамматический маркер)가 발달한 경우이다. 인접성은 실제 세계에서 뿐만 아니라 추상 세계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러한 인접성에 의해서 문법 표지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얘를 들면 러시아어 ‘идти’ 동사는 진행시제표지로 사용된다. 그런데 ‘идти’동사가 모든 문장에서 진행형 표지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원래 ‘идти’ 동사는 물리적 공간에서 신체의 현재적 이동을 표현한다. 즉 현재진행형 표지 동사이기 때문에 이동의 현재성을 강조함으로써 그 지시하는 미래가 현재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아주 가까운 미래임을 표시한다. 이러한 경우는 언중들의 심리상의 인접성에 기초한 환유적 문법화의 한 예이다. 이와 같은 문법화의 거시 구조에는 이동동사>문법표지라는 물리적 세계>문법 개념의 세계라는 은유(метафора)가 작용하고 있으며 그 미시구조에는 언중들의 심리적 인접성이라는 환유가 작용하고 있다.


연관 표제어


문법표지(грамматический маркер, grammar marker), 은유(метафора, metaphor), 문법화(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я, grammaticalization)



참고자료


Чигирь Л. Переход одной части речи в другую: Некоторые вопросы правописания. М.: URSS. 2010.

Traugott E., E. Ḱ́́önig. “The Semantics - Pragmatics of Grammaticalization Revisited.” In Traugott, E. & B. Hein, Approaches to Grammaticalization I, II. Amsterdam: John Benjamins.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