Диглоссия

: 중층언어

우스펜스키(Б.А. Успенский)는 11-17세기 고대러시아의 언어적 상황을 교회슬라브어-러시아어 중층언어로 규정하고, 이 중층언어가 와해하고 교회슬라브어-러시아어 이중언어로 이행한 시기를 17세기 말로 보고 있다. 중층언어는 공존하는 두 언어가 기능상 상보적 분포관계로, 통상 표준어-비표준어, 문어-비문어, 상위어-하위어, 종교어-세속어로 대립한다.


[중층언어, 이중언어, 표준어-방언] 퍼거슨(C.A. Ferguson)의 중층언어론을 고대러시아에 적용한 우스펜스키(Б.А. Успенский)는 중층언어, 이중언어, 그리고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상황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중층언어는 통상 문자의 전통이 종교의 도입과 포교 목적을 위하여 형성된 경우에서 흔히 발견되는 상황이므로, 문어가 종교어가 된다. 종교어는 정제되고 규범을 지닌 언어로 인식되며 종교적 영역이나 공적이고 격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만 사용될 뿐, 일상생활의 의사소통 수단으로는 기능하지 않는다. 일상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일상어가 사용된다.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상황에서는 일상적 의사소통에 방언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르게’ 이야기하고 싶은 사람은 방언이 아니라 표준어를 사용한다. 바로 이것이 중층언어를 표준어-방언이 공존하는 사회와 구분하는 특성이다. (2) 중층언어에서는 비표준어인 일상어는 특별한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면서부터 주변의 일상적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체득되는 일차적인 언어로, 문법화가 불가능하다. 반면 표준어는 규범적인 문법을 규정하고 체계화하여 의식적인 학습을 통해서만 습득할 수 있는 언어이다. 이 때문에 표준어가 상위어(высокий язык)로, 일상어가 하위어(низкий язык)로 인식되고 전자가 후자에 대해 권위를 갖는다. 이와는 달리, 이중언어에서 공존하는 두 언어, 예를 들어, 캐나다 퀘벡주의 영어와 프랑스어는 대등한 관계로, 상호 무관하게 의식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독자적으로 습득된다. 또한 두 언어 모두 공식적 표준어로 인정된다. (3) 중층언어에서 두 언어는 사용 영역이 엄격히 구분되어 겹치는 부분이 없다. 즉 두 언어는 기능상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으므로, 언어집단 내부에 있는 언중에게는 두 언어가 하나의 언어로 인식되지만, 언어학자나 언어집단 외부에 있는 관찰자에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언어체계로 보인다. (4)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다는 것은 두 언어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언어로 쓰인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번역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특히 성스러운 종교의식에 관한 텍스트가 일상어로 번역된다든지, 우스꽝스러운 풍자적 내용이 종교어로 번역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이중언어는 두 언어가 상하관계가 아니라 대등한 관계에 있으므로 동일한 내용을 두 언어로 각각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 퀘벡주에서 영어 텍스트를 프랑스어로 번역하거나, 혹은 반대의 경우가 가능하다. 우스펜스키는 위 세 특성 중 어느 하나라도 파괴되었을 때 그 언어적 상황은 더 이상 중층언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교회슬라브어-러시아어 중층언어] 우스펜스키는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하며, 11-17세기 고대러시아의 언어적 상황이 위에서 서술한 중층언어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1) 고대러시아에서 공식적인 종교어 교회슬라브어는 일상어인 고대러시아어와 대립하였고, 이 두 언어는 사용 영역이 겹치지 않는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었다. 교회슬라브어는 예배문, 성서, 성례 등에 관한 종교적 문헌에, 러시아 종족어는 비종교적 영역인 세속적이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사용되었다. 즉 두 언어가 동시에 사용되는 영역이 없었으므로, 고대러시아 문헌 중 동일한 내용이 교회슬라브어와 러시아 종족어로 쓰인 문헌은 존재하지 않는다. (2) 교회슬라브어는 정제되고 규범적 언어였으며, 일상생활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것은 고대러시아의 언어적 상황이 표준어-방언 상황이 아님을 의미한다. (3) 기독교의 도입과 함께 생긴 수도원이 교회슬라브어를 습득하는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교회슬라브어를 배우는 것은 종교적 진리에 도달하는 신비의 길로 이해되었으므로, 기도법으로 시작하여 성서를 읽고 암송하고 기도문 작성법을 배웠다. 반면 러시아 종족어를 습득하기 위해 그 어떠한 특수한 교육이 행해졌다는 사료는 없다. (4) 고대러시아에서 교회슬라브어는 규범을 갖춘 언어이므로 언어집단에 의해 ‘옳은’ 언어로, 러시아 종족어는 규범에서 이탈하여 올바른 언어 행위를 파괴한 언어로 인식되었다. 이 두 언어는 문어-비문어, 규범어-비규범어, 상위어-하위어, 문화화-비문화어, 신성어-세속어의 대립이었다. 따라서 교회슬라브어는 사회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표현하는 도구이지만, 러시아 종족어는 사회문화적 가치와 무관한 영역에서 기능하는 언어로 인식되었다. (5) 중층언어에서는 두 언어가 기능적으로 경쟁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중층언어 상황은 수 세기 동안 유지될 정도로 대단히 안정적인 언어 상황이다. 고대러시아에서도 중층언어는 11세기부터 시작하여 17세기까지 유지되었다.


[중층언어론의 반향] 1980년대 우스펜스키가 제기한 교회슬라브어-러시아어 중층언어론은 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그에 동의하는 견해 못지않게 그의 관점을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부정하는 학자들도 상당수에 달한다. 그들의 주요한 반박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중층언어의 주요한 개념 중의 하나가 언어집단이다. 고대러시아에서 교회슬라브어로 말을 하고, 텍스트를 작성, 편집, 번역할 수 있는 언어집단, 즉 적극적인 교회슬라브어 구사자는 학식이 높은 성직자와 문헌 필사 및 전사자들이다. 이들의 정확한 숫자는 파악할 수 없지만, 수백만 명의 주민 중 수십 내지 몇백 명에 불과하다. 이처럼 언어집단의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교회슬라브어-러시아어 중층언어를 그 언어집단 전체의 특성으로 간주할 수 없다. 2) 교회슬라어-러시아어가 사회적, 문화적, 이념상 가치-무가치의 표현 수단이라면, 러시아어로 쓰인 국제적 외교문서, 국가 공문서, 성직자의 유언 등에는 사회문화적으로 의미와 가치를 두지 않았다는 것인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극단적인 이분법적 사고는 비역사적 낭만주의의 발상이다. 3) 중층언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공존하는 두 언어가 기능상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언어집단 내부의 언중은 교회슬라브어를 러시아 종족어가 문법서화한 이종으로 인식하는 반면, 외부의 관찰자나 언어학자에게는 교회슬라브어와 러시아 종족어가 서로 다른 두 언어로 보인다는 점이다. 그런데 당시 외부의 관찰자나 언어학자가 두 언어를 서로 다른 언어로 보았다는 것을 뒷받침할 그 어떠한 증거도 없다. 교회슬라브어와 러시아 종족어가 한 언어의 문체적 두 이형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하여 서로 다른 체계를 지닌 두 언어도 아니다. 예를 들어, ‘градъ-городъ, планъ-полонъ, вижду-вижу’ 등과 같은 교회슬라브어와 러시아 종족어의 대립은 16세기 조선시대 한자 문헌어과 한글 문헌어 사이의 대립, 예를 들어, ‘氣運-긔운, 江-, 猶言有圭角也-모난   니다, 龍水中-믈 아래’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은 직관적으로도 알 수 있다. 한자와 한글과는 달리, 교회슬라브어와 러시아 종족어는 슬라브어족이라는 한 어족을 기원으로 하고 동일한 문자를 사용했다는 점이 두 언어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질이다. 런트(H. G. Lunt) 역시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어휘적 수준에서 두 언어의 차이보다는 동일성이 크다는 견해이다. 그에 의하면, ‘고대교회슬라브어와 초기 동슬라브어는 단일 언어의 이형일 뿐, 이것을 두 개의 언어로 가정하는 것은 이후의 차이점을 11세기로 투영해보는 시대착오적인 것’이다.[1] 슬라브 지역의 언어적 공통성이 소실된 것은 약화모음 ъ, ь의 변화로 시작되었고, 이 변화가 일어나는 12세기 전까지는 언어적 공통성이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우스펜스키의 중층언어론은 고대러시아의 문어 및 규범어 연구에 대한 관점의 전환으로 많은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고대러시아의 특수한 언어적 상황 중 많은 부분이 중층언어의 이론적 틀로 아울러지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연관 표제어


이중언어(двуязычие, bilingualism), 교회슬라브어(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ий язык, church slavic), 고대러시아어(древнерусский язык, old russian)



참고자료


김용화. “Б.А. Успенский의 диглоссия론과 그에 대한 비판적 견해에 관하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 1996.

이호권. “杜詩諺解 重刊本의 版本과 言語에 대한 硏究.” 진단학보 95. 2003.

Живов В. М. Очерки исторической морфологи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XVII – XVIII веков. М., 2004.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 Древней Руси. Л., 1986.

Успенский Б. А. История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XI-XVII вв.). 3-е изд., исп. и доп. М., 2002.

Lunt H. G. “The Language of Rus' in the Eleventh Century: Some Observations about Facts and Theories.” Harvard Ukrainian Studies Vol. 12/13,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Commemorating the Millennium of Christianity in Rus'-Ukraine, 1988/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