Аналогия
: 유추
[역할] 러시아어에서 유추의 예는 복수표지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러시아의 강변화동사는 идти-шёл/шла/шло/шли나 нести-нёс/несла/несло/несли처럼 과거시제에서 어간이 완전히 바뀌거나 남성단수과거에서 어간 모음이 ‘е’에서 ‘ё’로 교체되는 두 가지 유형으로 통일되었다. 하지만 과거 강변화동사의 유형은 더욱 복잡했다. 그런데 러시아어의 대부분의 동사들은 ехать-ехал/ехала/ехало/ехали처럼 동사어간에 과거형어미-л/ла/ло/ли를 붙이는 약변화동사이다. 이러한 간단한 형식을 통해 복잡한 강변화동사들의 변화 방식을 간소화 시키는 유추적 변화가 발생했다. 이처럼 유추란 동일 언어 내에 있는 유사한 형식에서 규칙을 빌려오는 것이기 때문에 내적차용(internal borrowing)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런 유추 작용에 의해 러시아어 동사 변화는 매우 간소화되었다. 유추는 계열 상의 변화뿐 아니라 역성법(back-formation)에 의한 단어 형성, 즉 조어법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телевизор, телеграф에서 -зор, -граф를 파생접미사로 간주하여 телевизировать, телеграфировать를 만들어 낸 것도 유추에 의한 것이다.
[특징] 문법화에서 유추는 의미역 요인, 언어별로 선호되는 어순, 동사의 견인과 더불어 어순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다. 그에 의하면 유추는 기능이 같은 문장 성분을 문장에서 같은 위치에 배치하는데 이는 언중의 심리적인 언어 전략이다. 즉 유추는 기능과 위치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유추는 위에서 제시한 사 변화형의 경우처럼 기능적 과정을 나타내는 용어인 단순화(упрощение)와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과정을 Lehmann(1963: 183ff)는, 유추적 평준화(analogical leveling)라 불렀고 Heine, Rehh(1984: 41)은 계열적 유추(paradigmatic analogy)라고 하였다.
유추와 은유(метафора)의 관계를 보면 은유는 발화와 의도, 즉 말한 것과 의도된 의미 간의 유추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나 유추가 은유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은유는 개념의 전이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옮겨가는 경우에만 적용되지만 유추는 영역의 변화와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Heine et al.(1991: 102)에 의하면 문법화(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я)를 통해 생겨나는 거시적구조관(macro-structure relations)의 특징이 곧 유추이다. Givón(1989)에서 제시한 이른바 원형 확대 모형(prototype extension model)에서는 유사원형적 범주들은 유추나 은유에 의해 수정되거나 확대된다. 또 Lehmann(1982: 159)에 의하면 유추적 압력에 의해 문법화의 방향이 점점 좁혀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관 표제어
단순화(упрощение, simplify), 은유(метафора, metaphor), 문법화(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я, grammaticalization)
참고자료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Чигирь Л. Переход одной части речи в другую: Некоторые вопросы правописания. М. 2010.
Heine B., Claudi U., Hünnemeyer F. Grammaticalization: A Conceptual Framework. Chicago. 1991.
Heine B., Rehh M. Grammaticalization and Reanalysis in African Language. Hamburg. 1984.
Lehmann C. “Thoughts on Gammaticalization.” A Programmatic Sketch. vol.1. Arbeiten des Kölner Universalien-Projekts(AKUP) 48. Cologne.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