Схема

: 도식

[도식성과 구체성의 관계]


사물 > 식물 > 나무 > 침엽수 > 소나무


도식성 ←-----------------------------→ 구체성


좌측으로 갈수록 도식성의 정도가 높고 우측으로 갈수록 구체성의 정도가 높다. 모든 문법적 의미는 근본적으로 도식적인 반면 어휘 의미는 그렇지 않고, 은유적 전이가 발생할 경우 세부사항은 무시되고 도식은 보존된다(Sweetser, 1988: 390). 또는 개별적 차이는 배경(фон)으로 보내지고 공통점은 전경(передний план)에 부각된다(Rubba, 1990).


[도식의 유형]


도식에서 주로 쓰이는 개념은 사건도식(схема событий) 영상도식(схема изображения)이 있는데 인간의 인지작용 중 주로 동적인 것은 사건도식으로, 정적인 것은 영상도식으로 도식화된다. 시제와 상을 표시하는 조동사 범주는 모두 사건도식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사건도식의 하위도식으로는 다음의 9개의 도식이 있지만 12개의 도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도식의 예]


위에 제시한 12개의 도식 중 범언어적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도식은 장소도식, 이동도식, 행위도식이다.


1. Он находится в чтении. 그는 읽고 있다.

2. Он читает. 그는 읽고 있다.


예문 1과 2는 장소도식에 의한 문법화의 예인데 행위주는 ‘읽는 행위’ 속에 들어가 있는데 이는 ‘읽는 행위’를 장소적 개념으로 은유적으로 파악한 것이며 이것을 ‘읽고 있다’라는 현재형으로 문법화 하였다. 이외에도 이동도식에 의한 문법화에는 주로 ‘идти’와 같은 동사의 문법화가 해당하며 행위도식에 의한 문법화에는 주로 ‘кончить’, ‘начать’, ‘делать’ 등과 같은 동사의 문법화가 관계한다.


연관표제어

사건도식(схема событий), 영상도식(схема изображения)


참고문헌

Rubba J. “From content to function word: The development of preposition in Neo-Aramaic”. Conference on Explanation in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April 20-22. 1990.

Sweetser E. Grammaticalization ad semantic bleaching.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14. 1988.